- 주의: 저는 투자 전문가도 아니고 그 어떤 종목을 추천할 권한도 의사도 없습니다. 본 포스팅은 순수히 제 개인적인 공부를 위한 내용으로 이를 통한 손실에 대해서 저는 어떠한 책임도 지지 않는다는 것을 알려드립니다.
1. 인생은 실전이다
원유에 관심이 생기다보니 관련된 소식을 자주보게 됩니다. 어떤 건 굉장히 상세하게 개념부터 차근차근 설명하고 다른 건 호재와 위험성을 경고하죠. 제가 찾아봐서 그런지 몰라도 유튜브에서 4월 23일부터 1억원으로 ETF에 몰빵하신 분 이야기도 나오고 원유 투자는 미친짓이라는 분의 모습도 보곤합니다. 그 중에 가장 마음에 드는 채널은 TMOOK이라는 채널인데 롤오버와 슈퍼 콘텡고, 백워데이션처럼 원유 투자에 지금 알아야할 정보를 차근차근 설명해주셔서 보기 좋아습니다.
어찌됐든 정보를 접하면 접할수록 혼란만 가중되는 것 같습니다. 5월처럼 6월 ETF도 터지면 개박살이 날지도 모릅니다. 실제로 그런 리스크 때문에 USO를 비롯해서 삼성에서 운용하는 KODEX 원유선물이 이번에 자산 포지션을 고지없이 변경했다가 뉴스에도 기사가 나가고 있으니까요. 정유회사에 다니는 친구도 원유 투자는 하지 말라고 하더라구요.
그런데 저는 청개구리 기질이 너무 강해서 결국 투자를 단행하기로 결심했습니다. 투자를 하기 전에 최소한 상품 설명은 읽어봐야 해서 각 자산이 어떤 포지션을 가지고 있는지 조사해봤습니다.
2. 요놈조놈 다 다르구먼
원유 ETF에는 해외 투자가 있고 국내 투자가 있는데 저는 국내 투자만 생각하기로 했습니다. 해외 투자의 시장 시간에 맞춰 움직일 자신도 없을 뿐더러 환리스크를 생각할 겨를이 없었으니까요. 그래도 한국 투자 상품에 필수적으로 들어가는 USO 정도는 살펴봤습니다.
A. USO Oil Fund
- 운용사: USCF investments
- 자산: WTI 6월물 13.95%, 7월물 33.63%, 8월물 13.44%, 9월물 6.75%
- 가격: 현재가 $2.57, 기준가(NAV) $2.43, 괴리율 5.4%
B. KODEX WTI 원유선물(H)
- 운용사: 삼성자산운용
- 자산: 6월물 36.46%, 7월물 18.41%, 8월물 17.36%, USO 14.01%, 9월물 8.17%, 달러(환헷지용)
- 가격: 현재가 3680원, 추정 기준가(iNAV) 3519원, 괴리율 4.3%
- 특이사항: 최근 공시 없이 자산 포지션을 변경하고 투자자에게 변명아닌 변명을 했다가 여론의 질타를 받고 있음
C. Tiger 원유선물 Enhanced(H)
- 운용사: 미래에셋 증권
- 자산: 12월물 84.06%, USO 7.86%, INVESCO Oil Fund 7.79%
- 가격: 현재가 1385원, 기준가(NAV) 1356원, 괴리율 1.7%
- 특이사항: 롤오버 비용이 발생하면 다음 달 월물이 아닌 해당 년도 마지막 월물(12월물)로 전환하여 비용 최소화. 근월물을 포함한 USO와 INVESCO를 섞어서 변동성 추가. 대신 가격 변동폭이 KODEX에 비해 굉장히 적음
3. 그래서 결론은!?
KODEX를 살까 TIGER를 살까 고민하다가 KODEX를 질렀습니다. KODEX는 오늘만 11퍼센트가 빠졌습니다. 아무래도 공시 없이 자산 포지션을 변경하면서 기준가(NAV) 자체의 근간이 흔들리면서 타격이 크지 않았나 싶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단기 투자를 위해서는 KODEX가 났다고 생각해서 리스크를 무릅쓰고 그냥 지르기로 했습니다.
KODEX 1천 주를 주당 3700원에 샀습니다. 370만원을 썼으니 제가 세이빙 해놓은 금액의 대부분을 들이 부었네요. 과연 어떻게 될지는 앞으로도 지켜봐야할 것 같습니다. 질러버렸으니 앞으로는 지켜보는 수밖에 없으니까요.